정부는 2023년 6월에 청년도약계좌 제도를 출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내일채움공제, 재직자채움공제와 같은 청년을 위한 제도와는 중복으로 가입이 가능하나 청년희망적금과는 같은 예금상품이므로 중복으로 가입을 할 수 없습니다. 다만, 청년희망적금을 중도해지하거나 만기가 됐다면 심사를 통해 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1년 남은 청년희망적금을 해지해야 하는지, 청년도약계좌는 어떤 점이 다른지 , 또 가입을 할 건지 고민이 되실 거라 생각됩니다.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안내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는 해당은행의 우대 이율까지 적용한다면 높은 금리로 이득을 볼 수 있는 제도입니다.
청년들이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만든 제도이며 이 둘의 제도는 비슷해보이나 가장 눈에 띄는점은 월 납입금액과 만기기간일 것이라 생각되네요. 그렇다면 이 둘의 제도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비교
청년희망적금 | 청년도약계좌 | |
나이 | 만 19세~ 34세 | |
소득 | 개인소득 3,600만원 이하 종합소득 2,600만원 이하 |
개인소득 최대 7,500만원이하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
납부금액 및 만기 | 월 최대 50만원 2년 만기 |
월 최대 70만원 5년만기 |
최대 납부 시 정부 지원금액 | 만기시 36만원 | 매월 2.1만원 |
만기금액 | 약 1,300만원 | 약 5,000만원 |
금리 | 기본 연5%+해당 금융기관 추가우대 1% | 고정3년+변동2년=5년(예정) |
비과세 적용여부 | 여 | 여 |
청년도약계좌 중위소득 표 자료입니다. 청년도약계좌 가구소득에 따라 기준 180%가 다르니 표를 참고하여 기준에 적용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중위소득 | 가구에 따른 기준 180% | |
1인가구 | 월 2,077,892 | 월 3,740,206 |
2인가구 | 월 3,456,155 | 월 6,221,079 |
3인가구 | 월 4,434,816 | 월 7,982,669 |
4인가구 | 월 5,400,964 | 월 9,721,735 |
5인가구 | 월 6,330,688 | 월 11,395,238 |
이 제도들의 공통점은 나이기준입니다. 그리고 예금, 적금상품과 마찬가지로 연말정산 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없습니다.
그 외에 다른 조건들에서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정부 지원금을 받기 위해서는 최소 40만 원 이상은 납부해야 합니다. 표를 보자면 소득기준의 범위와 만기금액도 청년도약계좌가 훨씬 더 높으나 매월 납부금액면에서는 청년희망적금보다 더 부담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청년도약계좌는 만기가 5년이므로 꾸준히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도 월 납입금액으로 인해 2년을 유지하기 어려워 해지하는 사람도 많다고 하는데 청년도약계좌의 해지비율이 더 높지 않을까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저 역시 희망적금을 중간해지하여 이득을 보지 못했기 때문에 청년도약계좌 제도 신청에 더 신중해야 하겠습니다. 꾸준히 5년 동안 납부할 수 있다면 분명히 좋은 제도인 것은 틀림없습니다. 5천만 원의 목돈이 생기긴 어려우니까요,
청년희망적금은 최대 5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금액을 납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1만 원만 납부해도 만기를 채운다면 만기 시에 정부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장점도 있으나 청년도약계좌보다는 이자와 정부지원금이 적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을 해지하면 원금만 돌려받고 이자혜택과 정부지원금은 받을 수 없으니 신중하게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어느 것을 선택하든 만기만 할 수 있다면 어느 것이 더 좋다고 할 수 없을것 같습니다. 단순히 숫자로만 비교하면 안돼니까요, 제일 중요한것은 납부가 꾸준히 가능한지, 현재 자산상황에 따라 선택하는게 가장 탁월할 것같습니다.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확인하기
청년도약계좌 핵심 총정리
복잡하고 어렵기만한 여러 제도가 있습니다. 정부는 2023년 6월부터 시작될 청년도약계좌를 발표했습니다. 2023년 청년을 위한 청년도약계좌는 어떤 제도일까요? 청년을 위한 정책이 다양하게 출
cocojh.tistory.com
'국가지원금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세청 환급금 조회 통해서 미수령 환급금 확인하기 (0) | 2023.06.14 |
---|---|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홈페이지에서 신청, 자격, 지급일 보기 (0) | 2023.06.13 |
청년도약계좌 가입, 신청 및 총 정보 (0) | 2023.04.15 |
국민 내일배움카드 신청자격, 사용방법 (0) | 2022.11.16 |
연말정산 100만원 지원, 적용시기 알아보자. (0) | 2022.11.09 |
댓글